HRD8 [HRD] 불확실성 시대, 평등한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이론 연구 ‘불확실성이 강화되는 현 조직이 처한 상황을 돌파해낼 수 있는 평등한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이론적 토대에 어떠한 조직 이론을 활용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을 기반으로 평등한 조직문화 구축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이론들을 탐색했다. 즉, 급변하는 환경의 불확실성 속 이를 돌파해낼 수 있는 대안으로 평등한 조직문화를 생각해보았으며, 이러한 평등한 조직문화는 어떤 특성을 토대로 형성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기본 요건들을 각 이론들이 지향하는 바를 토대로 연결해 탐구해보았다. 1. Resource dependency theory 자원 의존 이론(이하, RDT) Pfeffer & Salancik (1978) RDT는 조직이 당면한 환경적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의사결정을 통해 필요한 .. 2024. 2. 2. [HRD] 세종대왕의 조직혁신전략 영국의 정치학자이자 역사가인 에드워드 핼릿 테드 카는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라고 말한 것처럼, 우리가 대왕이라 부르는 세종대왕은 조직을 이끌어가는 데 있어 어떤 전략을 활용했는지 살펴보았다. 1450년 음력 2월, 세종대왕이 사망했을 때, 신하들이 한마디로 요약한 세종 정치의 비결은, ‘강거목장(綱擧目張)이었다. 강거목장의 의미는 국왕이 그물의 벼리(綱: 그물을 잡아당기는 그물의 제일 윗줄을 의미)를 들어 올리면 그물눈(目)이 저절로 펴졌다는 뜻이다. 즉, 중요 부분만 움직이면 나머지는 저절로 따라온다는 의미이다. 통치술에 관심 많았던 ‘한비자’도 그물의 벼리와 그물눈의 비유를 들며 현명한 군주라면 관리를 움직이지 백성들을 다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2005년부터 세종을 연구하고 있는 .. 2024. 2. 2. [HRD] 리더는 조직이 변화해야 할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경솔한 변화는 위험하지만, 무분별한 보수는 더 위험하다” – 헨리 조지 이 문구는 나에게 “언제 변화를 추구해야 하는지 그리고 언제 변화를 추구하지 말아야 하는지 리더는 어떻게 분별(판단)할 수 있을 것인가?” 라는 의문을 주었다. 변화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인지 아닌지에 대한 감지를 리더는 무엇을 통해 어떻게 알아챌 수 있게 될 것인가? 즉, 리더는 기업 및 조직이 변화해야 할 시점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 2015년 HBR에 따르면 대기업 경영진의 80% 이상이 조직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면서도 5~10년 내 그 작업을 완수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리더는 고작 3분의 1정도였다고 한다. 조직을 탈바꿈 시키는 결정은 특히 경영 성과가 뛰어나고 주가 지수가 좋을 때 내리기 어려울 것이다. .. 2024. 2. 2. HRDer를 위한 학습민첩성 HRD 교육 프로그램 설계 조직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기업에 계신 HRDer분들의 노고를 잘 알기에 정말 수고가 많으십니다. 조직 구성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많은 고민을 하고 계실것으로 압니다. 내용도 알차야하고 이론적 근거도 탄탄해야하고 그리고 실제 효과도 도출해야하고 등등 할일이 많습니다. 그런데 진짜 A라는 역량을 어떻게 개발/개선/강화시킬 수 있을까 혹은 어떤 논리로 접근을 해야 하는지 혹은 성과를 어떻게 예측할 수 있을지 막막하신 분들이 많으시죠? HRDer께서 현업에서 조직 구성원의 핵심역량을 개선/개발/강화 시키기 위한 교수설계 방법 나눔 하고자 합니다. 내용을 보시면서 얼마든지 응용 적용 접목하실 수 있습니다~ 자, 그럼 교수설계 시작해보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러닝 어질리티" 역량 개선 개발 강화를 .. 2024. 1. 30. 이전 1 2 다음